본문 바로가기

육아에 필요한 의학지식

감기처럼 흔한 질병, 중이염

감기처럼 흔한 질병, 중이염 


감기 합병증

저녁에 아이가 귀가 아프다면서 울기 시작한다. 열도 나기 시작했다. 다음날 병원에 가보니 감기의 합병증으로 중이염이라고 한다. 중이염은 병명 그대로 중이에 염증이 생긴 병이다. 사람의 귀는 밖에 보이는 귓바퀴를 포함하는 외이, 고막과 연결된 작은 뼈로 이뤄진 중이, 달팽이 관으로 이뤄진 내이로 구성되는데 가운데 부분에 염증이 생긴 병이 중이염이다. 흔히 감기가 걸려서 이비인후과에 가면 아이들 고막을 살펴보는데 이는 중이염 여부를 살펴보는 것이라고 한다. 아이들이 중이염에 쉽게 걸리는 이유는 아이들의 중이의 구조가 어른에 비해서 세균이 쉽게 침입할 수 있게 되어 있기 때문이다. 비어있는 공간인 중이에는 고막 안밖의 압력이 균형을 유스타키안 튜브(이관)을 통해 맞추게 되는데 아이들은 어른에 비해서 이 튜브의 길이가 짧기 때문에 중이에 세균이 쉽게 침범하게 된다.

 

증상

중이염은 감기처럼 대부분 항생제 치료 없이도 자연적으로 낫는 경우가 많으며 3세까지 어린이 중 70%가 겪는 흔한 병이다. 증상은 보통 통증과 함께 열이 난다. 하지만 통증이 없는 경우도 드물게 있어서 아이가 다른 때에 비해 소리를 듣지 못한다면 중이염을 의심해봐야 한다. 무엇보다 감기로 인한 합병증으로 중이염이 흔하기 때문에 어린아이의 경우 감기 증상이 있으면 중이염에 걸리기 쉽다. 의사소통이 어려운 어린 아이의 경우 중이염으로 인해 언어발달이 늦어지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증상이 의심될 경우 반드시 가까운 소아과에서 검진을 받는 것이 좋다.

 

예방

중이염을 줄이기 위해서는 우유병은 돌까지만 사용하고 이후에는 컵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젖병을 빨면서 유스타키안 튜브에 압력이 가해져서 세균이 중이로 빨려들 확률이 높아지기 때문이다비슷하게 공갈젖꼭지도 너무 오랜 기간 사용하면 중이염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아이에게 분유를 누워서 먹는다면 중이로 분유가 들어갈  있기 때문에 먹일 때는 바닥에 눕혀서 먹이지 않도록 한다

 

치료

중이염을 치료하는데 가장 중요한 것은 항생제 치료이나 의사에 따라서 항생제 사용방법에는 차이가 있다. 대부분의 중이염이 짧은 시간 내에 회복되는 경우가 많고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에는 전혀 효과가 없고 항생제에 내성이 있는 세균을 만들어내서 앞으로 치료가 더욱 어려워 질 수 있기 때문이다. 때문에 대부분 가장 진통이 심한 발병 후 24시간 이내에는 진통제를 처방하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육아에 필요한 의학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독감과 감기  (0) 2018.12.15
감기합병증인 중이염  (0) 2018.12.12
아토피피부병, 완치보다는 관리를  (0) 2018.01.17
독감(인플루엔자) 정리  (0) 2018.01.13
감기엔 약이 없다  (0) 2018.0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