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은 유전되는가? 삶의 목적이 무엇인가?“내 삶의 목적은 ‘행복하기 위해서’ 인 것 같다.”중고등학교 때 즐겨 듣던 라디오 프로그램에서 이제는 고인이 된 신해철씨가 말했다. 당시는 나도 그 말이 맞는 것 같았다. 하지만 나이를 좀 더 먹은 지금은 행복이라는 것이 무엇인지 잘 모르겠다. 젊었을 때의 행복이란 무엇인가를 이루는 것이었다. 좋은 대학에 가고 내가 좋아하는 여자와 교제하면 행복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물론 지금도 무엇인가를 이루면 행복하겠지만, 예전처럼 간절하게 이루고 싶은 목표가 없다. 어떤 것을 이루기 보다는 현 상태를 유지하면서 내 시간이 많으면 행복할 것 같다. 한 사람 속에서도 인생의 시기마다 행복의 정의 자체가 달라지는 경우도 많고 무엇이 사람을 행복하게 하는지 분명하지 않다. 행복의 원인을 찾는 연구.. [두율키즈]혼자서 옷입기 [두율키즈]혼자서 옷입기이벤트 참여용 포스트입니다. 참고시간 2:32 - 3:10 어린아이들의 말 상대로 쓰이는 카카오미니 TV, 스마트폰이 아이들에게 미치는 악영향 앱 분석업체인 와이즈앱에 따르면 2017년 9월 스마트폰 사용자의 사용시간 1위를 앱이 유튜브 라고 한다. 특히 유튜브는 전 연령층에서 고른 사용시간을 보여주고 있다고 한다. 동영상이라는 컨텐츠 특성 때문이기도 하지만 스마트폰 앱이 결국 사용자의 시간을 두고 경쟁한다는 점에서는 유튜브의 영향력이 크다고 볼 수 있다. 식당에서 보면 아이들이 스마트폰을 보면서 식사를 하는 모습을 흔히 볼 수 있는데 특히 어린아이들에게 스마트폰의 영향력은 절대적이다. 아이들에게 가장 친숙한 미디어는 TV가 아닌 스마트폰이다. TV의 유해성은 더 이상 논란의 여지가 없다. 어느정도 연령이 될 때까지 아이의 TV시청은 제한되어야 한다. 왕따현상에 대한 연구에서 4세 미만의 아이가 TV를 한 시간씩 더 시청할 때마다 나중에 학교에.. 아이가 공부를 잘하기 원한다면 ‘안정’을 주라 별로 중요하지 않은 인간의 지능‘나는 인간의 지능이 공작의 깃털과 같이 짝짓기를 위한 도구에 불과하다는 이론을 읽었지’웨스트월드에서 안소니 홉킨스가 연기한 로버트 포드 박사가 한 대사이다. 실제로 많은 과학자들이 두뇌는 지식을 처리하는데 관심이 없고 생존에만 관심이 있다고 말한다. 무엇을 배우는 것은 생존하기 위한 도구에 불과하다. 인류가 자연에 숨어있는 원리를 발견하고 아름다움에 대해서 논하는 것은 생존을 위해 노력하다가 우연히 얻어진 능력이라는 것이다. 이것을 전제로 하면 사람의 행동의 많은 부분을 설명할 수 있다. 많은 부모들은 아이가 영리하기를 특히 학업에서 뛰어난 성취를 보였으면 한다. 그런데 아이의 뛰어난 학업성적을 원한다면 우선 아이에게 안전하다는 확신을 주어야 한다. 인간에게는 생존이 최우.. 결과가 중요할까? 과정이 중요할까? 어머니가 틀렸다.‘결과보다는 과정이 중요하다.’어머니는 내가 어릴 적부터 말씀하셨다. 비단 우리 어머니뿐 아니라 부모님이라면 아이들에게 비슷하게 말씀하셨을 것이다. 그런데 내가 학교를 졸업하고 사회에 나와보니 배운 것과는 좀 달랐다. 프로젝트 과정에서 고생한 사람보다는 보고할 때 숟가락만 얹은 사람이 모든 공을 가져가는 경우가 많았고, 과정이 힘들었고 주어진 환경에서 최선의 결과를 내었다고 하더라도 상대적으로 결과가 초라하면 아무도 인정해주지 않았다. 과정이 중요하다는 말은 패자의 자기 위로에 불과해 보였다. 문제는 그 위로가 다음 패배로 이어질 수 있는 점이었다. 허탈했다. 어머니의 가르침은 그 세대의 경험에서 나름 검증된 생존 방법이었겠지만 지금은 세상이 변했다. 몇 년 전, 난 결론을 내렸다. ‘남.. [하율키즈]'평화의 공원'을 가다 [하율키즈]'평화의 공원'을 가다- 언니가 동생에게 해 준 배려 하율키즈 복귀 최초 작품! 아이 머리를 좋게 하는 방법이 있을까? IQ테스트의 의미복잡한 사안을 간단하게 표현하는 능력은 대부분 유용하다. 그러나 인간의 지능을 평가하는 데는 그 유용한 능력이 빛을 잃는 경우가 많다. 지능을 이루는 요소가 너무나 복잡하기 때문이다. 인간의 지능을 측정하는데 가장 유명한 IQ테스트는 프랑스의 심리학자 알프레드 비네가 장애를 측정할 목적으로 만든 테스트가 그 시작이었다. 알프레드 비네는 인간의 지능이 굉장히 복잡하기 때문에 양적으로 평가하기 어렵고 테스트 결과는 제한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알프레드 비네의 테스트는 다른 학자들에 의해서 평균을 100으로 하고 분포를 따르는 테스트로 발전되는데 이것이 바로 IQ테스트이다. IQ테스트는 통계적인 아이디어에 비롯한다는 점과 숫자로 제공된다는 이유로 애초의 의도와는 다르게 받아들여.. 연결되어 있다는 안도감 타인을 통해서만 자신의 가치를 발견하다.‘두유 노우 싸이?’ 미국부무 브리핑에서 한국 기자가 했다는 질문이다. 대부분의 유머의 경우 질문에 짤막하게 붙이는 데 반해서 질문 자체가 유머라서 많이 회자되었다. 외국사람에게 전혀 관계없는 질문을 하는 이유는 아마도 외국에서 인정받고 싶어하는 한국의 열등감 때문일 것이다. 스스로 자신의 가치를 자신할 수 없으니 외국에서 좋아한다. 알고 있다 등으로 자신의 가치를 확인하고 싶다. 이에 대한 비판도 많지만 외국에서 인기있으면 그제서야 안심이 되는 것은 사실이다. 다른 사람을 통해서 자신의 가치를 발견하는 것은 나쁘다고만 할 수는 없으나 무척이나 피곤한 일이다. 타인의 시선은 경제적 문제와 더불어 남자가 집안일을 하고 육아휴직을 하는데 가장 큰 걸림돌일 것이다. 심리.. 이전 1 ··· 4 5 6 7 8 9 10 다음